소유와 존재의 관점에서 본 과거의 연애경험.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소유욕을 느끼지 않고 기쁨을 누리는 가장 대표적인 예로 남녀관계를 이야기한다. 이 구절을 읽고 깨달은 것은 나 역시 사랑을 통해 존재의 기쁨을 느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존재가 무엇인지에 대한 막연한 이해를 얻게 되었습니다. 나는 딱 한 번 제대로 된 관계를 경험해 본 것 같아요. 제가 자라기 전의 몇 가지 관계는 어린 시절의 미성숙한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경험한 사랑이란… 이 사람과 계속 함께하고 싶고, 이 사람을 만날 날이 기대되고, 기다림이 즐겁다. 또한, 누군가의 눈을 보면 자동으로 “사랑해”, “행복해”, “예쁘다”라는 말이 튀어나온다. 그리고 당연히 그녀는 두 사람이 함께할 미래를 상상하기도 합니다. 존재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내 경험을 회상했을 때 비로소 나는 그런 귀중한 경험을 했고 그것이 존재의 일부였음을 깨달았다. 그녀의 관계를 되돌아보면 그녀는 소유욕이 강한 편이었다. 사람이었습니다. 그녀는 남들에게 보이는 것을 지나치게 염려했기 때문에 많은 요구를 했습니다. 그녀는 대부분의 여자보다 키가 컸고, 남자친구가 자신보다 키가 커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플랫슈즈 같은 신발을 신지 말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만났을 때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을 나한테 입혀달라고 하더군요. 나는 이런 일에 크게 신경을 쓰는 성격이 아니었다. 어차피 사람들은 주변에 관심이 없고, 이상하지 않은 이상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다른 많은 상충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오히려 갈등을 겪으면서 이런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됐고, 이해하게 됐어요. 그리고 속으로는 나보다 속이 깊은 사람이었다. 나는 그녀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그녀를 통해 많은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저는 이 사람을 좋아했기 때문에 강점이건 약점이건 상관이 없었던 것 같아요. 그날 나도 그녀를 정말 사랑했다. 결국 현실적인 문제와 상황으로 인해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잊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고, 결국에는 앞으로 만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는 좋은 추억이자 소중한 경험으로 받아들이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약 3년 동안 데이트를 했고, 이 기간 동안 나는 사랑의 존재적 측면과 소유적 측면을 모두 경험했습니다. 똑같습니다. 에리히 프롬은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소유와 달리 존재는 그런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존재는 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주고, 나누고, 희생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고 합니다. 당시의 경험을 생각해보면 이는 사실이 아닐 수 없다. 개인적인 경험이 아니었다면 결코 알지 못했을 것이고, 주고, 나누고, 희생하려는 의지를 이해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존재를 완전히 배웠다는 뜻은 아니다. 나는 책을 절반쯤 읽고 나서야 그 존재감을 느꼈다. 그리고 이를 다른 요소에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 그래도 이런 단서가 있기 때문에 예전 기억에서 읽어보고 ‘그때도 그랬지’라고 생각하면 떠오르는 게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이것이 존재와 얽혀 있다는 것을 나중에 경험을 통해 깨닫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