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nM 중소기업 경영지원센터입니다. 기술로 개발된 제품에 대한 성능인증은 해당 제품이 실제로 시장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지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입증하고, 개발자의 기술력을 인증하는 중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능인증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특히 새로 개발된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인증은 소비자와 기업 고객이 제품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 성능인증제도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성능인증을 취득하면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우선 공공기관 등 조달시장에 진출할 때 유리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많은 공공기관이 첨단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정책을 운영하고 있어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은 입찰 과정에서 가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증을 통해 기술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면 민간 시장에서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검증된 기술’로 고객에게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어 마케팅, 판촉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성능 인증은 단순히 기술 능력을 입증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지원 혜택과 연계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성능인증을 받은 기업에 자금지원, 세제혜택, 연구개발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합니다. 또한, 해외시장 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에게 성능인증은 글로벌 시장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많은 해외 바이어들이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공식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많은 중소기업에서는 자사 제품의 성능 인증을 받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의 성능인증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이 제도는 정부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제품에 대해 성능시험 및 인증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를 통해 중소기업은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을 맺고, 우선구매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원인은 신기술 인증제품, 특허제품, 기술혁신개발제품 등 공공기관 납품을 위해 개발된 기술개발제품이다. 다만, 의약품, 농수산물, 총기류, 화약류, 도박류, 음식물류, 가공되지 않은 제품 등은 성능인증에서 제외됩니다. 성능인증을 받으려면 먼저 관할 중소기업청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후 성능인증 적합성 검토, 구매대행 규격 확인, 공장심사, 성능검사 등의 절차를 거친다. 특히, 공장심사 단계에서는 경영현황, 기술개발여건, 적용제품 생산, 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성능인증서의 유효기간은 인증일로부터 3년이며, 최대 3년까지 1회 연장 가능합니다. 연장 신청은 유효기간 만료 120~60일 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 경우 새로운 시험성적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공공기관과 민간계약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공공기관에서는 제품 구매금액의 5% 이상을 기술개발제품으로 의무화하여 성능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이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에 대해서도 성능보험이 적용됩니다.
성과보험은 공공기관이 상품 구매로 인해 입은 손실을 보상하고, 공공기관의 구매부담을 완화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공공구매 확대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제품에 대한 성능인증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술로 개발된 제품의 성능 인증은 단순한 문서 인증을 넘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됩니다. 이를 통해 기술력을 갖춘 기업은 더 많은 기회를 얻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BnM 중소기업 경영지원센터로 전화주세요. BnM 중소기업 경영지원센터 문의 : 1877-2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