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융. 은행권은 24년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차 금융권의 감소율도 감소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FCS)는 2024년 9월 1일부터 스트레스 DSR 2단계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DSR이라는 개념을 모르신다면 제가 이전에 쓴 글을 읽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https://blog.naver.com/niolpa/222796048364?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대출조건 요약(2) DTI, DSR 3단계 안녕하세요. 달토키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LTV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가격이… blog.naver.com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2021년 7월 이전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기준으로 9억원을 초과하는 투기과열지구에만 DSR 40%가 적용됐지만, 그 후 규제지역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적용되었고, 그게 받아들여지지 않자 부동산 금액과 상관없이 총 1억원을 초과하는 대출을 실행하면 무조건 DSR 40%가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 DSR’은 DSR 40%에 대한 추가 규제입니다. 천천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스트레스 DSR이란 무엇일까요? DSR을 계산할 때 대출 금리를 높여 대출 한도를 줄이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하는 이유는 DSR을 40%로 강화했지만 가계대출이 계속 늘어나고 주택가격이 다시 정점을 찍고 있어서 안정적으로 상환할 수 있는 사람에게만 대출을 제공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스트레스 금리는 대출 금리에 더한 금리로, 최근 5년간 최고 금리와 현재 금리의 차이로 산출되며, 하한은 1.5%, 상한은 3%다. 보통 차이는 1.5% 미만이지만, 하한이 1.5%이므로 현재 스트레스 금리는 1.5%다. 1단계: 스트레스 금리(1.5%)의 25%(1.5% x 0.25%) = 0.375% 더하기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820_0002856084 연봉 1억 원 대출 한도 8천만 원으로 인하… 막판 수요 급증 예상(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다음 달부터 주택가격이 오르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규제가 더욱 강화된다. 이에 따라 은행 대출 한도가 지금보다 대폭 인하된다. 금융당국은 과열된 주택 가격과 가계대출 급증을 억제하기 위해 이런 조치를 취했다. 시장에서는 대출 한도가 인하되기 전인 이달 말까지 은행 지점으로 막판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www.newsis.com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1단계는 2024년 2월부터 시행되었으며 현재 2단계가 시행 중이다.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스트레스 DSR 2단계 금리는 은행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제2금융권 주택담보대출에 적용되며 1.5% x 0.5% = 0.75%P이다. + 핵심은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는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주택대출에 대한 금리를 0.75%에서 1.2%로 인상했다는 것이다. 다행히도 8월 31일 입주자 모집공고가 시행된 집단대출과 매매계약이 체결된 일반주택대출 계약에는 이전 규제(1단계 스트레스 DSR)가 적용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8월까지 급히 입주자 모집공고를 쏟아낸 이유가 이런 걸까요. 물론 거의 0%에 가까운 가산금을 내는 단지도 있었지만 스트레스 DSR 때문에 가산금을 조금 올릴 수밖에 없었던 모양입니다… 은행만 웃고 있습니다… 1단계는 0.375%가 추가되고, 2단계는 0.75%(비수도권) 또는 1.2%(수도권)가 추가되므로 수도권만 해도 거의 1%가 추가됩니다. 3단계는 2025년에 시행될 예정이며, 1.5% x 100% = 1.5%가 추가됩니다. 9월 1일 이전에는 DSR 0.375% 기준으로 대출금리는 4.5% + 0.375% = 4.875%가 적용되고, 9월 1일부터는 DSR 1.2%가 적용되어 4.5% + 1.2% = 5.7%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물론 기준금리 인하 효과로 대출금리 4.5%가 조금 떨어질 수 있지만, 우리 정부는 스트레스 DSR 없이도 주택대출 금리를 더욱 인상하고 있습니다. 잘 들어주는 우리은행… 은행만 꽉 차는 것 같네요… 스트레스 DSR이 적용된 2단계 시뮬레이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1) 대출금리는 4.5%에 스트레스 금리(1.2%)를 더한 5.7%입니다. 2) 신용대출을 포함한 다른 대출은 없다고 가정합니다. 2) 연봉 1억 원, 수도권 20억 원 주택 매수. 연봉 1억 원 / DSR 40% = 4천만 원. 즉, 연간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액이 4천만 원(월 350만 원 정도)으로 제한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대출 한도는 얼마일까요? DSR이 40%로 딱 맞게 충족된다면 6억 원 대출이 가능합니다. 즉, 20억 원 주택을 매수하려면 본인 자본이 14억 원이 필요하다는 뜻이겠죠? 수도권 20억 원 주택 매수를 고려하는 부부의 합산 연봉이 1억 3천만 원 정도라고 가정하면 얼마가 될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연봉 1억 3천만 원인 사람은 8억을 빌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스트레스 금리가 0.35%였던 2단계 시행 전에는 얼마나 받을 수 있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연봉 1억 3천만 원인 사람이 9억 원을 빌릴 수 있는 구조였습니다. 결국 연봉 1억~1억 3천만 원인 사람은 DSR 2단계 시행 전후로 대출 한도가 1억 원 정도 줄어들게 됩니다. DSR 2단계 시행으로 무엇이 달라지는 것일까요? 1) 현금성 고소득, 고소득 사업주에게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어 부동산 상위 계층의 자녀들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2) 일반 부동산 매수자는 기준을 낮추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전액 대출로 보고 있던 집을 1억 원 정도 더 구매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가 보는 부동산 시장이 상위 계층 부동산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지 않다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데도 주택담보대출 추가금리가 인하되지 않아 수도권 대출이 긴축되면서 약간의 가격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대출한도가 1억원 정도 변동하더라도 본인에게 맞는 집을 매수하려는 매수심리가 강하다면 그 안에서 거래가 움직여 상승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은 스위칭 심리가 붙은 상황인데…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예시는 간단하지만 혼합형, 주기형, 고정형에 따라 다르니 아래 pdf에 있는 3단계 1.5% 적용 시뮬레이션 예시를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첨부파일(첨부) 스트레스 DSR 제도 도입방안(1).pdf 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MYBOX에 저장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하세요~!